[교육정보] [중,고등] 중3은 진로 고민부터, 고3은 내신·수능·진로 우선순위 정해야

선택과목 정할 때 중요 포인트

과목 선택의 기본 사항
적성·흥미 파악이 최우선
전공 등 진로 연계 고려도

수학·과학 적극 선택을
인문사회계열 ‘확률과 통계’
진로 못 정했다면 ‘과학Ⅰ’

대학별 선택과목 확인
학종·교과·정시서도 활용
수능 응시 안 해도 이수를

수능·적성 사이 고민 땐
수능 볼 과목부터 우선 선택
전공 관련 소신 선택도 필요



‘확률과 통계’와 ‘미적분’ 중 무엇을 공부하는 것이 좋을까. ‘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 중 어떤 과목이 나와 맞을까.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적용받는 예비 고1, 고2 학생들은 1학년 때 듣는 공통과목 외에 2, 3학년 때 듣고 싶은 과목을 선택하는 기로에 놓인다. 선택과목은 진로와 연계될 뿐 아니라 고등학교 선택과 대학 입시에도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다. 현명한 선택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파악하고 진로와 연계된 과목을 알아 둬야 한다.

선택과목은 크게 일반 선택과 진로 선택으로 나뉜다. 일반 선택은 교과별 이해를 바탕으로 하고 진로 선택은 교과 융합학습, 진로 안내학습, 교과별 심화학습, 실생활 체험학습이 가능한 과목으로 구성된다. 일반 선택을 중심으로 하면서 진로 선택 중 흥미에 맞는 과목을 선택하면 된다.

선택과목을 정하는 데 가장 중요한 것은 흥미와 적성이다. 대학 진학이 목표라면 대학 전공의 기초가 되는 과목을 배워야 한다. 자연계열 분야로 가고 싶다면 수학과 과학을 깊이 있는 수준까지 배운다. 자연계열이 아니더라도 수학 교과는 적극적으로 선택할 것을 권한다. 문·이과 통합 체제에서 인문사회계열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은 수학에서 ‘확률과 통계’를 배우고 희망에 따라 ‘미적분’까지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다.

진로를 정하지 못했다면 2학년에 과학Ⅰ 과목 중 1~2과목을 이수하면 좋다. 인문사회계열은 3학년에 관련 과목을 이수하고, 자연계열로 정했다면 3학년에 과학Ⅱ 과목을 선택하면 된다. 절대적인 기준은 아니지만 대학들도 전공과 연계된 과목을 권장하고 입시에서도 평가한다. 진로와 대학에서 공부할 전공의 계열은 선택과목의 주요 기준이다.

*계열 따른 전공 적합성에 맞게 선택을

어문계열은 언어 소통 능력뿐 아니라 다양한 문학과 문화를 다루는 분야다. 따라서 제2외국어는 Ⅱ수준까지 선택할 수 있고 생활과 윤리, 사회·문화, 세계사, 세계지리, 윤리와 사상 등의 사회교과 과목도 공부할 만하다. 상경계열은 논리적이고 분석적인 사고력을 기르기 위해 수학을 충분히 선택하고 국제 감각을 익히는 정치와 법, 경제, 세계사, 세계지리 등의 사회교과도 도움이 된다.

간호·보건계열은 생명과학과 화학 지식뿐 아니라 환자를 이해하고 배려하는 것도 중요하다. 화학·생명과학은 심화 수준까지 하고 생활과 윤리, 정치와 법, 사회·문화, 심리학, 보건 등 인간에 대한 이해를 돕는 학문도 좋다. 자연계열은 과학 네 분야 과목을 모두 배우고 특히 관심이 있는 분야는 심화 수준까지 배울 수 있도록 선택한다. 정보나 가정과학도 자연과학과 연결되는 과목들이다.

수학이 기본인 공학계열은 미적분, 기하까지 배우고 영어도 놓치지 말아야 한다. 가능하다면 과학도 네 분야를 모두 배우고 그중 일부는 심화 수준까지 배울 수 있도록 한다.

예술·체육계열은 학교에서 개설되지 않았다면 집에서 가까운 음악 거점학교를 활용할 수도 있다. 다른 나라 음악에 관심이 있다면 언어·역사·지리와 관련된 과목을 선택하는 것도 좋다. 학교 여건상 배우기 어려운 과목은 학교 간 협력 교육과정(거점형·공유형·온라인형)을 이용할 수 있다. 졸업 후 취업이 목표라면 고등학교 단계에서 익힐 수 있는 컴퓨터나 경영 관련 과목을 적극적으로 선택한다.

김용진 동대부속여고 교사는 “전공을 공부하는 데 필요한 과목을 이수하면 어떤 전형으로 대입을 준비하든 대비할 수 있다”며 “학생들이 어려운 과목을 들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무리를 해서 어려운 것을 듣거나 특정 과목을 피하기보다 진로에 맞게 듣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선택과목은 전공에 대한 관심, 노력, 자기주도성 등을 종합 평가하는 학생부종합전형(학종)과 관련이 깊다. 학종을 중심으로 대입을 준비하는 학생들은 우선 전공 적합성을 고려해야 한다. 물리학과에 지원하는 학생 중 물리Ⅱ를 공부한 학생과 하지 않은 학생이 있다면 공부한 쪽이 유리할 수밖에 없다. 희망 전공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과목은 수능에서 응시하지 않더라도 이수해야 한다.

학생부교과전형과 정시모집에서도 중요한 요소다. 교과전형에서도 일부 대학은 정성평가를 한다. 어떤 과목을 선택해서 꾸준히 공부했는지 학습 과정을 보려는 것이다. 수능에서 실질적으로 특정 영역(과목)을 응시하도록 지정하거나 교과평가를 정시모집에 활용하는 대학이 있다. 서울 주요 대학을 포함한 일부 대학들은 수학이나 탐구 영역에서 특정 과목을 응시하도록 정했다.

예를 들어 자연계열 모집단위에서 수학은 미적분이나 기하 중 선택하고 탐구는 과학 과목을 응시하게 하는데, 전 모집단위에 적용하는 대학도 있고 공과대학 중 일부 학과 또는 의예과, 약학과, 수의예과, 한의예과 등에 한정해 적용하는 대학도 있다. 물론 대학이 모든 전공에서 특정 과목 이수를 요구하는 것은 아니므로 확인은 필수다.

예를 들어 서울대는 인문사회계열에서 경제학부에만 권장 과목을 뒀고 치의학과는 자연계열임에도 권장 과목을 지정하지 않았다. 그리고 권장 과목을 제시하지 않은 모집단위는 학생의 진로적성에 따른 적극적인 선택과목 이수를 권장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서울대는 학생의 교과 이수 충실도를 본격적인 평가 요소로 활용하기 위해 2023학년도부터 정시모집에서 정성평가를 바탕으로 교과평가를 실시한다. 교과평가는 학교생활기록부의 교과학습발달상황 즉 ▲교과 이수 현황 ▲교과 학업성적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을 반영해 모집단위 관련 학문 분야에 필요한 교과 이수와 학업 수행의 충실도를 평가한다. 교과평가는 정시모집 지역균형전형과 일반전형에서 3개(A·B·C) 등급 절대평가 방식으로 한다.

진로에 맞는 과목을 듣고 싶어도 현실적으로 성적 때문에 적성이나 전공과 무관한 선택과목을 고르는 상황도 자주 생긴다. 성적과 적성 사이에서 고민이 된다면 수능 때 볼 과목을 정하고 다른 과목을 선택한다. 사회탐구의 경우 선택과목 인원은 생활과 윤리, 사회·문화, 한국지리 순으로 많다. 사회교과는 수시에서도 전공에 따른 과목 영향이 적기 때문에 되도록 수능과 같은 과목을 선택할 것을 추천한다.

박성현 목동고 교사는 “선택과목에 따라 수능에서 유불리 측면이 있다는 인식 때문에 진로대로 선택과목을 선택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대학들이 해당 전공을 위한 과목을 의미 있게 이수한 학습 과정을 정성평가하고 등급이 낮아도 합격할 수 있다는 신호를 주고 있다”며 “해당 전공의 기초 역량을 갖추기 위한 소신 있는 선택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예비 고1은 고교 선택 전 확인해 봐야

오는 12월 고등학교 선택을 앞둔 중3 학생들은 선택과목이 고교 선택의 고려 사항이 된다. 자신이 듣고 싶은 선택과목이 해당 학교에 개설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각 고등학교가 어떻게 교육과정을 편성했는지, 어떤 교과를 가르치는지 확인하는 것이 좋다. 우선 학교알리미 사이트(www.schoolinfo.go.kr)에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다만 학교알리미 사이트의 내용과 달리 내년에는 일부 변동이 생길 수도 있으므로 가장 확실한 방법은 학교에 직접 문의하거나 설명회에 참석하는 것이다.

우연철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장은 “고1 때는 대부분 수시를 고려하기 때문에 진로 고민이 우선시되는 것이 좋다”며 “예비 고3인 고2는 내신·수능·진로의 우선순위를 잘 판단하길 권한다”고 말했다.

출처: 서울신문 2022.11.02
0
0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커뮤니티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16 교육정보 202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시험 및 점수 체제 안내 포플짱 01-21 784
115 교육정보 2026학년도(2025년) 대학 입시 학년별 일정표 포플짱 12-27 893
114 교육정보 2026학년도(현 고2) 대학입학전형 시행계획 주요사항 포플짱 12-23 882
113 교육정보 2025학년도 전국연합학력평가 연간 출제 범위표 - 고등학교 1·2·3학년 포플짱 12-16 1,038
112 교육정보 2025학년도 전국연합학력평가 시행 일정 및 주관 교육청 포플짱 12-16 985
111 교육정보 2024년 전국연합학력평가 10월 모의고사 (10월 15일 화요일) 포플짱 09-23 1,767
110 교육정보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행세부계획 공고 보도 +1 포플짱 07-10 2,762
109 교육정보 미리보는 1등급 전략 - 예비 고1 커리큘럼 수학 파트 포플짱 06-24 2,996
108 교육정보 세특 500자 이내로 쓰는 방법 포플짱 06-12 2,912
107 교육정보 2024년 대학입시 달라진 속보 한가지 - 자기소개서 폐지 포플짱 06-11 2,645
106 교육정보 고등학교 동아리, '무엇'을 기준으로 골라야 하는가? 포플짱 06-10 2,597
105 교육정보 생기부 관리, 합격률 높이는 방법은? 포플짱 06-07 2,503
104 교육정보 [고등] 의대 지역인재전형 95% ‘수능 최저’ 맞춰야…“자사고·명문고 강세” 포플짱 06-07 2,379
103 교육정보 고등학교 1학년 절대평가 등급컷 포플짱 06-05 2,417
102 교육정보 생기부 관리, 반드시 2가지만 확인해주세요! 포플짱 06-04 2,478
101 교육정보 수시,정시 뜻과 세부적인 종류 및 대학교별 수시등급 포플짱 06-03 2,492
100 교육정보 2028 대입개편안 - 2가지만 기억하세요! 포플짱 05-31 2,443
99 교육정보 고등학교 출결,조퇴,결석,지각을 하면 불합격이 되는가? 포플짱 05-30 2,542
98 교육정보 2025학년도 대학입시 일정표 포플짱 05-29 2,581
97 교육정보 학종의 뜻, 대입 노하우까지! 포플짱 05-28 2,462
96 교육정보 고등학교 내신 확인, 성적 향상 노하우까지!! 포플짱 05-27 2,542
95 교육정보 고등학교 중간고사 공부법 포플짱 05-24 2,557
94 교육정보 학생부 종합전형의 뜻, 준비 방법까지 포플짱 05-23 2,427
93 교육정보 2026학년도 대학입학전형 시행계획 발표 +1 포플짱 05-14 2,545
92 교육정보 대입 성공 위해서는 어떤 전형을 준비할까? 포플짱 05-10 2,603
91 교육정보 2024년 교육 정책 변화 +1 포플짱 04-24 2,710
90 교육정보 [고등] 2025 수능 시행 기본 계획 포플짱 04-15 3,383
89 교육정보 [고등] 2024년 3월 학력평가 완벽분석 포플짱 04-12 3,166
88 교육정보 [고등] 전국연합학력평가 모의고사 과목별 출제범위 포플짱 04-02 3,363
87 교육정보 [고등] 3월 전국연합학력평가 성적표 올바르게 해석하기 포플짱 03-29 3,210
+
MEMBER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