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정보] [고등] 수능 국,수,영 모두 어려워...상위권 변별력 갖췄다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채점 결과 국어와 수학, 영어 영역 모두 지난해 수능보다 크게 어려워진 ‘불수능’이었던 것이 다시 한 번 확인됐다. 전 영역 만점자는 졸업생 응시자 1명이 유일하다.


2024학년도 수능 국어, 수학, 영어 모두 까다롭게 출제되어, 상위권 변별력을 확보한 시험으로 평가됐다. 


올해 수능 응시인원은 444,870명으로 전년도 수능 응시인원 447,669명 대비 2,799명 감소했다. 재학생은 287,502명(전년도 308,284명), 소위 N수생으로 불리는 졸업생과 검정고시 합격자 등은 157,368명(전년도 139,385명)이었다. 매년 응시인원 중 재학생은 감소하고 N수생은 늘어나는 양상이다.


국어영역에서 화법과 작문 선택자는 59.8%로, 언어와 매체 40.2%보다 높았고, 수학은 미적분 51%, 확률과 통계 45%, 기하 4% 순이었다. 사회탐구는 생활과 윤리, 사회·문화가, 과학탐구는 지구과학I, 생명과학I의 선택 비율이 높았다.


영역별로 1등급 구분 표준점수를 보면, 국어는 133점(2023학년도 126점), 수학은 133점(2023학년도 133점)으로 나타났다. 표준점수 최고점은 영역별로 국어는 150점(2023학년도 134점), 수학은 148점(2023학년도 145점)이었다.


국어의 경우, 전년도 수능 대비 표준점수 최고점자 수가 크게 감소했고(2023학년도 수능 371명->2024학년도 수능 64명), 1~2등급 구분 점수는 높아진 것으로 보아 상위권 변별력을 갖춘 것으로 보인다.


국어의 경우 64명(2023학년도 371명)이 만점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고, 수학도 612명(2023학년도 934명)만이 만점을 받아, 국어와 수학 모두 매우 까다롭게 출제된 것이 현실이 되었고, 만점자로 보면 국어와 수학 모두 전년보다는 상위권에서 변별력 있게 출제된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의 경우 원점수 90점 이상인 1등급의 비율이 4.71%로, 전년도 수능보다(1등급 7.8%)보다 어렵게 출제된 것으로 분석된다.


탐구영역에서 사회탐구영역의 경우 경제, 정치와 법의 최고점이 73점으로 가장 높았고, 윤리와 사상, 세계사가 63점으로 가장 낮았다. 과목간 표준점수 차이는 10점으로 전년도 보다 과목 간 점수차이가 증가했다. 과학탐구의 경우 화학II가 80점으로 가장 높았고, 지구과학I이 68점으로 가장 낮았다. 과목간 표준점수 점수차는 12점으로 전년도 9점보다 점수차이가 커졌다.


수능 채점결과를 통해 보면, 올해 입시의 주요 Key를 잡을 수 있다. 우선 국어와 수학 모두 선택과목에 따른 유불리가 나타난 것으로 보이고, 국어의 경우 화법과 작문 최고점은 147점, 언어와 매체는 150점으로 선택과목 간 점수차이는 3점, 수학의 경우 확률과 통계 최고점 140점, 미적분 148점, 기하 144점으로 확률과 통계와 미적분의 최고점 간 차이는 8점 차이로 전년도 3점차보다 벌어졌다.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 우연철 소장은 “올 수능은 변별력이 확보된 시험으로 수험생들은 단순합산점수가 아닌 목표대학 환산점수를 통해 지원대학과 학과를 선택해야 하고, 온라인 서비스 등을 활용하여 지원자들의 지원 추세분석을 한 후 지원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출처 : 2023.12.08 에듀진 기사 URL: http://www.eduj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44416

0
0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커뮤니티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18 맞춤법 맞춤법 +3 덜덜덜 11-07 4,038
117 맞춤법 곤혹스럽다? 곤욕스럽다? 같은 듯 다른 말 +2 bbang 10-26 4,187
116 맞춤법 오늘의 맞춤법 - 금새 vs 금세 +3 bbang 10-05 4,576
115 맞춤법 맞춤법 퀴즈 난이도 최하!! +6 bbang 09-18 4,002
114 맞춤법 맞춤법 퀴즈 쉬움!! +4 bbang 08-30 4,825
113 맞춤법 맞춤법 퀴즈 ㅋㅋㅋ +5 다다 08-16 4,120
112 맞춤법 맞춤법 틀린 자막 찾기 2.jpg +5 bbang 08-09 5,260
111 맞춤법 맞춤법 틀린 자막 찾기.jpg +3 bbang 07-25 6,169
110 맞춤법 알맞은 외래어 표기는? +4 bbang 07-20 5,065
109 맞춤법 헷갈리는 맞춤법 퀴즈 풀어보자 +3 bbang 07-11 4,183
108 맞춤법 쉬운 듯 헷갈리는 맞춤법 퀴즈 +4 bbang 07-06 4,678
107 맞춤법 어제자 뉴스 대참사 +7 투멍 06-14 4,228
106 맞춤법 맞춤법 파괴 근황 +6 초코바나나 06-07 4,428
105 맞춤법 오늘의 맞춤법 퀴즈 풀어보자 (난이도 중하) +6 bbang 05-24 4,471
104 맞춤법 맞춤법 틀린 간판 고쳐보기 2.jpg +5 bbang 05-19 6,263
103 맞춤법 1분 맞춤법.twt +4 bbang 05-15 4,077
102 맞춤법 맞춤법 틀린 방송 자막 고쳐보기.jpg +6 bbang 05-11 4,400
101 맞춤법 순우리말로 날짜 세기 +5 bbang 05-08 3,551
100 맞춤법 의외의 표준어 - 개고생 +4 bbang 05-04 3,903
99 맞춤법 일부러vs일부로 / 함부러vs함부로 알맞은 맞춤법은?! +7 bbang 05-02 5,842
98 맞춤법 띄어쓰기가 중요한 이유 4.jpg +5 초코바나나 04-28 4,670
97 맞춤법 사람들이 가장 헷갈린다는 맞춤법 +6 bbang 04-26 3,947
96 맞춤법 맞춤법 지적 받아서 화난 댓글 +5 초코바나나 04-25 4,510
95 맞춤법 띄어쓰기가 중요한 이유 3.jpg +5 초코바나나 04-24 5,658
94 맞춤법 맞춤법 틀린 간판 고쳐보기.jpg +11 bbang 04-20 4,300
93 맞춤법 띄어쓰기가 중요한 이유 2.jpg +6 초코바나나 04-17 3,841
92 맞춤법 오늘의 맞춤법 - 짜장면 VS 자장면(블랙데이를 맞이하여 ㅋㅋ) +5 콩콩 04-14 4,118
91 맞춤법 1분 맞춤법 - 불거지다 vs 붉어지다 +3 bbang 04-14 4,135
90 맞춤법 띄어쓰기가 중요한 이유.jpg +12 bbang 04-12 4,043
89 맞춤법 헷갈리는 맞춤법 퀴즈 풀어보자! +4 bbang 04-10 4,044
+
MEMBER LOGIN